2025년 대학교 실험실 안전사고 사례 공유 및 안전관리 철저
가. 개요 : 2025년 대학교 실험실 안전사고 사례 공유 및 안전관리 철저
나. 목적 : 유사한 연구실 안전사고 예방 및 안전의식 제고
다. 사고 사례
일자 |
사고 대상 |
사고 내용 요약 |
사고 원인 |
관련 사진 |
25.07.24. |
인천대학교 |
- 질소 가스 누출 - 1명 질식으로 인한 중태 |
고압가스 저장소에 보관된 질소가스가 누출 후 체류되어 산소 결핍으로 인한 질식 발생 |
|
25.07.02. |
충남대학교 |
- 폐액 통 폭발 화재 발생 - 1명 얼굴 2도 화상 |
크롬옥사이드와 아세톤을 동일한 폐액 통에 버리던 중 화학적 폭발 발생 |
|
25.06.04. |
카이스트 |
- 실험 중 폭발로 화재 발생 - 1명 얼굴, 등, 손에 열상 및 화상 - 4명 연기 흡입 |
아세톤을 저온에서 농축하는 회전증발농축기를 이용한 실험 진행 중 폭발 발생 |
|
25.04.08. |
한양대학교 |
- 황산 폭발로 화재 발생 - 1명 얼굴 화상 - 3명 경상 |
황산 액 폐기 중 폭발 발생 |
|
라. 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관리 사항
순번 |
항목 |
내용 |
1 |
일과시간 이후 실험 관리·감독 강화 |
일과시간 이후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일과시간 이후 연구실 안전수칙 준수 철저 |
2 |
단독 실험 금지 및 2인 이상 실험 원칙 준수 |
긴급 상황에 즉시 대처할 수 있도록 같은 공간 내 2인 이상 실험을 원칙으로 하고 이를 준수 |
3 |
안전보호구 착용 철저 |
실험 유형에 따른 적절한 개인보호구(보안경, 실험복 등)를 실험 중 반드시 착용 |
4 |
연구실책임자의 안전 관리·감독 강화 |
연구실책임자는 연구활동종사자를 대상으로 안전교육 실시 강화, 사전유해인자위험분석 실시, 폐액 처리 절차 준수 등 안전 관리를 강화하고 감독 철저 |
5 |
질식사고 발생 우려 장소 관리·감독 강화 클린룸, 연구용 챔버 등 밀폐 연구실 초저온가스용기(액화질소 등) 취급 연구실 불활성 고압가스용기(질소, 아르곤 등) 취급 연구실 |
기계적 환기설비 설치 및 정상 작동 유무 확인 산소농도측정기 설치 및 산소농도 이상 유무 확인 가스용기 전도방지장치 설치 및 가스 배관 연결부 고정 여부 확인 환기설비가 갖춰지지 않은 밀폐 공간 내 초저온·불활성 가스 용기 보관 금지 |